
[토비의스프링] 1-7 의존관계 주입 DI
·
Spring Framework/Spring
IoC가 매우 느슨하게정의돼서 폭넓게 사용되는 용어라는 점에서 스프링이 제공하는 IoC 방식을 핵심을 짚어주는 의존관계 주입Dependency Injection이라는, 의도가 명확히 드러나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. 먼저 의존관계란 무엇인지 생각해보자. 두 개의 클래스 또는 모듈이 의존관계에 있다고 말할 때는 항상 방향성을 부여해줘야 한다. A -> B (A가 B에 의존하고 있다) UML에서 말하는 의존관계란 이렇게 설계 모델의 관점에서 이야기하는 것이다. 런타임 시에 오브젝트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의존관계도 있다. 프로그램이 시작되고 UserDao 오브젝트가 만들어지고 나서 런타임 시에 의존관계를 맺는 대상, 즉 실제 사용대상인 오브젝트를 의존 오브젝트dependent object라고 말한다. 런타임 ..